• GIS(지리 정보 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공간적으로 참조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인적자원의 통합체이다.
  •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ataBase Management System) :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이스 내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이다. DBMS은 사용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의 요구를 처리하고 적절히 응답하여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Windows :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운영체제로 개인용 컴퓨터의 범용 운영체제이다.
  • VOD : 주문형 비디오의 약자로 서비스 공급자는 다량의 콘텐츠를 서버 등에 저장하고 이용자는 원하는 콘텐츠를 실시간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PK(Primary Key) : 주 키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실별자로 사용한다.
  • DSS(Decision Support System, 의사결정지원시스템) : 단순히 정보를 수집, 저장,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을 넘어서 사용자들이 기업의 의사결정을 쉽게 내릴 수 있도록 사업 자료를 분석해주는 역할을 하는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이다.
  • Linux : 개인용 또는 서버용 운영체제로 오픈소스 기반 운영체제이다. 리누스 토발즈가 최초로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제작하여 현재는 PC, 서버, 임베디드 기반 가전 기기용 운영체제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였다. 
  • 목표 복구 시간(Recovery Time Object) : 정보시스템 운영 중 자연 재해나 시스템 장애 등의 이유로 대고객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 시점부터 업무가 복구되어 다시 정상가동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 목표 복구 시점(Recovery Point Object) : 현재부터 가장 가까운 복구 지점, 데이터를 보존해야 하는 장애와 관련된 특정 시점이다.
  • Incremental Backup : 백업 대상 데이터 영역 중 변경되거나 증가된 데이터만을 백업 받는 방식
  • WEP : 무선랜의 표준인 IEEE 802.11 규약의 일부분으로 무선랜 간의 자료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다. 수만 개 정도의 패킷에 의한 공격에 그 키가 쉽게 해독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WPA 기술이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에 의해서 무선랜에서 보안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작된 프로토콜로 WEP의 취약점의 대안으로 개발되었다. 암호화나 인증을 위한 키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WEP는 보안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으로 갖고 있다.
  • 802.1x : WEP는 키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로 기계를 인증하는 반면에 802.1x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사용자들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합법적으로 접속했는지 접속할 권한이 있는지를 인증 서버를 통해 인증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 SYN Flooding : 클라이언트가 SYN만 보내고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다면 해당 연결 요청은 TCP Connection Timeout 시간 동안 계속 SYN Backlog Queue에 남아있게 된다.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고의로 이런 행동을 한다면 SYN Backlog Queue는 가득 차게 된다. SYN Backlog Queue가 가득 차면 더 이상의 연결 요청을 받아들일 수 없게 된다.

  1. 클라이언트가 SYN 패킷만을 계속적으로 보내고 ACK 패킷을 안보내게 된다면 Sever는 Client의 연결을 받아들이기 위해 RAM(메모리) 공간을 점점 더 많이 확보해둔 상태에서 대기합니다.
  2. Server의 RAM이 꽉 차게 되면 더이상 연결을 받아들일 수 없게 되고, Server는 서비스를 계속할 수 없게 된다.
  • DRM(디지털 권리 관리, Digital Right Management) : 출판자 또는 저작권자가 그들이 배포한 디지털 자료나 하드웨어의 사용을 제어하고 이를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기술들을 지칭하는 용어다.
  • Ad-hoc(에드혹) :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호스트(Mobile Host)로만 이루어진 통신망으로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이동 노드는 단지 호스트가 아니라 하나의 라우터로 동작하게 되며, 다른 노드에 대해 다중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적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반구조 없는 네트워킹이라고도 한다.
  • ITS(지능형 교통 시스템,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 기존의 교통체계에 전자, 정보, 통신, 제어 등의 지능형 기술을 접목시킨 차세대 교통체계로 교통 관련 정보와 기상 정보, 도로 상태 정보 등을 수집, 처리, 가공하여 유,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해서 도로변 교통 단말기, 차내 단말기, 교통 방송, PC 통신, 전화 등으로 차량 운전자 및 여행객들에게 전달함으로써 통행의 편의와 교통량의 원활한 소통을 이루기 위한 시스템이다.

정규화(Normalization)

 

  • 정규화란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종속으로 인한 이상(Anomaly) 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속성들 간의 종속 관계를 분석하여 여러 개의 릴레이션으로 분해하는 과정을 말한다.
  • 정규화된 결과를 정규형이라고 하며, 정규형의 종류로는 제1정규형, 제2정규형, 제3정규형, BCNF, 제4정규형, 제5정규형 등이 있다.
  • 정규형의 종류
  • 제1정규형(1NF : First Normal Form) : 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도메인이 원자 값(Atomic Value)만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정규형을 말한다.

  1. 위 사진을 보면 한 회원이 하나 이상의 수강과목을 수강하고 있으므로 원자값을 가지도록 테이블을 분해해야 한다.
  2. 따라서 회원번호를 기본키로 가진 회원(회원번호, 성명, 연락처) 테이블과 수강과목을 기본키로 가진 강좌(수강과목, 수강료) 테이블로 분해한다.
  3. 아래 사진처럼 분해한 후 수강과목을 외래키로 하여 참조 관계로 사용하면 된다.

  • 제2정규형(2NF : Second Normal Form) : 제1정규형을 만족하면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이 되도록 분해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부분 함수 종속을 제거하고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이 되도록 한다.

  1. 위 사진처럼 고객번호와 제품번호가 합성키(복합키)로써 주문량을 알 수 있는 기본키가 된다.
  2. 그러나 제품명은 제품번호만 알아도 알 수 있으므로 이는 부분 함수 종속관계에 있다.
  3. 부분 함수 종속 관계를 제거하는 정규화 과정이 2NF이다.
  4. 아래 사진처럼 주문량(고객번호, 제품번호, 주문량) 테이블과 제품(제품번호, 제품명) 테이블로 나눈다.

  • 제3정규형(3NF : Third Normal Form) : 제2정규형을 만족하면서 이행적 함수 종속 관계를 분해하여 비이행적 함수 종속이 되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

  1. 위 사진을 보면 학번을 알면 전공을 알 수 있고 전공을 알면 담당교수를 알 수 있으며 학번을 알면 담당교수를 알 수 있다.
  2. 이행적 함수 종속은 학번 -> 전공, 전공 -> 담당교수 일 때, 학번 -> 담당교수인 경우를 말한다.
  3. 이행적 함수 종속을 없애는 과정이 제3정규화이다.

  • 보이스-코드 정규형(BCNF : Boyce-Codd Normal Form) : 제3정규형을 만족하면서, 릴레이션에서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가 되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

  1. 후보키 : 각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이나 속성의 집합(튜플마다의 고유한 속성)
  2. 2NF와 다른 점 : 2NF에서는 복합키 안의 일부만 알아도 알 수 있는 속성이 있었지만 BCNF에서는 완전히 복합키로만 식별할 수 있게 되어있다.(부분 함수 종속 관계가 없다.)
  3. 위 사진에서 회원번호와 수강과목은 복합키로써 기본키의 역할을 한다. (회원번호, 수강과목) -> 강사
  4. 한 회원이 여러 수강과목을 신청할 수 있으므로 회원번호 하나만으로는 후보키가 될 수 없다.
  5. 또한 같은 수강과목에도 강사가 여러 명이 존재하므로 수강과목 하나만으로 후보키가 될 수 없다.
  6. 강사는 후보키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수강과목을 결정하는 결정자이다. 강사 -> 수강과목
  7. 이와 같이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테이블을 분해하는 과정이 BCNF이다.
  8. 아래 사진처럼 회원등록(회원번호, 강사) 테이블과 강사(강사, 수강과목) 테이블로 분해한다.

  • 제4정규형(4NF : Fourth Normal Form) : 다치 종속(MVD : Multivalued Dependency) 관계가 성립되는 경우 분해하는 정규형을 말한다.

  1. 다치 종속 관계란 위의 사진처럼 모든 함수 종속 관계는 성립되지 않지만 한 속성이 다른 속성의 집합을 알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과목명을 알면 강사들을 알 수 있고 마찬가지로 과목명을 알면 교재들을 알 수 있다.
  2. 표시 방법 : 과목명 ->-> 강사, 강사 ->-> 교재
  3. 다치 종속 관계의 테이블을 분해시키는 것이 제4정규형(4NF)이다.
  4. 아래 사진처럼 강사(과목명, 강사) 테이블과 교재(과목명, 교재) 테이블로 나눈다.

  • 제5정규형(5NF : Fifth Normal Form) : 조인 종속(Join Dependency)이 후보키를 통해서만 성립이 되도록 하는 정규형을 말한다.
  1. 조인 종속(Join Dependency) : 원래의 릴레이션을 분해한 뒤 자연 조인한 결과가 원래의 릴레이션과 같은 결과가 나오는 종속성

 

+ Recent posts